티스토리 뷰

목차



    사전투표일, 아직도 헷갈리시나요? 단 이틀, 신분증 하나면 전국 어디에서나 대통령서거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본투표 당일이 어렵다면 미리 사전투표 정보를 알아보고 간단한 준비로 사전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장소는 아래 버튼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2025년 21대 대선, 준비 없이 가면 헷갈리기 쉬운 절차부터 인증샷 주의사항까지 알아 보았습니다. 당신의 소중한 한 표, 꼭 행사하세요.

     

    경기도-사전투표소
    경기도-사전투표소

     

     

    21대 대선 사전투표

     

     

    2025년 6월 3일 본투표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사전투표는 본투표 당일 참석이 어려운 유권자들을 위한 제도로, 5월 29일(목)과 30일(금) 단 이틀 동안 실시됩니다.


    투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가능합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소중한 한표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준비물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은 단 하나,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입니다.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모두 사용 가능하며,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하지만 캡처 이미지가 아닌 실제 앱을 실행해 보여줘야 합니다.

     

    이외에는 별도 준비물 없이 누구나 쉽게 투표할 수 있습니다.

     

     

    전투표 절차 요약 

     

    처음 사전투표를 하는 분들도 걱정 마세요! 아래 절차만 숙지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순서 내용
    1 투표소 줄서기 – 안내에 따라 줄을 섭니다
    2 관내/관외 여부 확인
    3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4 서명 또는 손도장
    5 투표용지 수령 – 관외일 경우 회송용 봉투도 함께
    6 기표소 입장 후 투표 (기표도장만 사용)
    7 투표지 반으로 접어 투표함에 넣기 (관내), 회송용 봉투 밀봉 후 투표함 (관외)
    8 투표소 퇴장



     

    SNS 인증샷 주의사항

     

     

    투표 인증샷을 찍을 계획이라면 꼭 주의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투표소 안에서는 모든 사진 촬영 금지입니다.


    기호를 나타내는 손모양이나 기표된 투표지를 찍는 행위는 선거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반면, 투표소 밖에서는 인증샷 가능하나,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표현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개인의 의견을 표현하는 수준은 괜찮지만 조직적이거나 대량 메시지는 위법입니다.

     

     

    Q&A

    Q. 사전투표는 본인 주소지와 관계없이 가능한가요?

     

    네, 전국 어느 사전투표소에서나 투표 가능합니다. 단, 관외투표 시 회송용 봉투 사용.

     

    Q. 모바일 신분증도 사용할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단, 캡처 이미지가 아닌 앱을 실행한 화면을 보여줘야 합니다.

     

    Q. 사전투표 시 소요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요?

     

    대기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절차 자체는 약 5~10분 이내에 마무리됩니다.

     

    Q. 투표 당일이 아닌 사전투표의 효력은 동일한가요?

     

    물론입니다. 사전투표든 본투표든 효력은 동일하게 인정됩니다.

     

    Q. 투표 인증샷은 어떻게 찍어야 안전한가요?

     

    투표소 외부에서, 선거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찍는 것이 안전합니다. 포스터 옆 인증샷이 무난합니다.

     

     

    선거는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특히 바쁜 일정 속에서도 자신의 뜻을 반영할 수 있는 ‘사전투표’는  유권자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정보를 미리 알아보고 꼭 투표를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버튼에서 더 많은 지역별 투표소 확인할 수 있습니다.